자본주의 경제는 누구나 자신의 이익과 자신에게 필요한 재화를 위해 자유롭게 경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각자에게 필요한 재화를 추구하다보면 한정된 재화로 인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때문에 사람들은 납득할 만한 일정한 규칙을 만들어 그에 따라 경쟁을 벌입니다. 경쟁에서 승리한 사람이 재화를 얻고 소유합니다.

사회주의 경제에서는 개인이 특정한 재화를 소유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지 공동으로 계획한 후 일을 나눠서 함께하고 생산된 재화를 골고루 나누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법도 그런 질서를 보장합니다. 사회주의 경제에선 정부가 생산을 계획하고 성과를 분배하는 등 경제를 계획하고 통제합니다.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경제 운영을 시장에 맡깁니다.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이익을 좇아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팔며 자유경쟁을 벌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물건을 자기 마음대로 비싼 값에 팔거나 싼 값에 살 수 있을 확률은 엄청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는 재화의 공급이 줄어들면 가격이 오르고 재화의 공급이 늘어나면 가격이 떨어져 자동으로 수요로 공급이 조절됩니다 즉, 재화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시장 원리에 의해 경제가 돌아가는 겁니다. 그래서 자본주의 경제를 시장경제라고 부릅니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정부는 시장이 잘 돌아갈 수 있도록 조정하는 역할만 합니다.

자본주의경제와 사회주의 경제를 합쳐놓은 형태의 시장경제체제도 있습니다. 바로 유럽의 사회민주주의입니다.

유럽은 전통적으로 자본주의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혼합하여 사회민주주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자유 경쟁을 벌이면서도 정부가 경제를 계획하고 국민 복지를 골고루 분배하는 정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때,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선호화는 부류를 우파,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선호하는 부류를 좌파로 분류합니다. 유럽의 여러 나라는 좌파와 우파가 경제 운영방식을 둘러싸고 정권 쟁탈전을 벌이고 있으며 정권이 바뀔 때마다 경제 운영의 시행착오를 되풀이 하고 있습니다.

경제에 대해 얘기할 때면 '신용'이 단어가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데 정확히 뭘 말하는 걸까요?

여러 의미가 있겠지만, 경제에서 말하는 '신용'은 돈을 빌려 쓰고 제때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개인이든 회사든 신용이 좋다는 것은 곧 빚을 갚을 능력이 충분하다는 의미입니다.

돈을 빌려주는 사람은 항상 돈을 빌려가는 사람이 신용이 좋은지를 중시하기 마련입니다.

가까운 지인에게 돈을 빌려줄 때도 돈을 갚을 수 있을 지 생각을 잠깐이라도 하게 되는데 당연한 거 겠죠. 그렇기 때문에 금융거래에서 신용은 개인이나 기업뿐만 아니라 금융기관, 정부 등에게도 중요한 이슈입니다. 기업이나 은행, 정부 모두 저마다 국내외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빌려쓰기 때문입니다.

신용이 좋은 사람은 싼 이자로 쉽게 돈을 빌릴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돈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상대방이 빌려간 돈을 갚을 능력인 신용평가는 누가하는 걸까요?

민간기업 가운데 다른 기업이나 금융기관의 신용도를 조사 분석하여 평가하는 기업이 있다, 신용평가회사들입니다. 

대표적으로는 NICE 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서울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올크레딧 등이 있습니다.

신용평가회사들은 신용평가대상 기업으로부터 수수료를 받고 평가해줍니다. 보통 그 기업에서 발행하는 채권이나 기업어음의 신용도를 조사해서 상환 능력이 높은 순으로 등급을 매겨 공개합니다. 이들 신용평가 회사가 발표하는 기업이 신용등급을 참고하여 금융기관은 돈을 어떤 조건으로 얼마나 빌려줄지 결정합니다 

회사마다 평가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신용평가회사에서 발표하는 신용등급도 모두 같진 않습니다. 때문에 복수의 신용평가, 또는 기업 자체의 신용등급 체계를 기반으로 대출을 결정하게 됩니다.

뉴스나 신문에 자주 등장하는 외국 신용평가사들로는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와 '무디스 인베스터스 서비스'를 꼽을 수 있습니다. 유럽계 금융기관들은 프랑스계회사인 '피치 IBCA'의 평가를 많이 활용합니다. 

경제학은 경제를 보는 관점으로 크게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나누어집니다.

미시경제학은 정체 경제를 이루는 개별 기업이나 정부, 가계 각각의 활동을 주로 분석합니다.

미시경제를 나타내는 경제지표를 미시경제지표라고 하며,

경제를 이루는 특정한 부분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대표적으로 개별 기업의 매출액이나 이익, 가계의 소득과 저축 등의 추이를 숫자로 나타낸 지표가 있습니다.


거시경제학은 개별 기업이나 정부, 가계의 활동이 하나로 통합되어 전체경제를 이루는 과정과 그 결과를 주목합니다.

거시경제를 나타내는 경제지표를 거시경제지표라고 합니다.

거시경제지표는 전체 경제에 참여하는 각 부분의 활동을 하나로 통합하여 만들어진 결과치입니다.

이렇게 하나로 통합된 물가의 추이를 숫자로 나타내는 물가지표를 거시경제지표가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GDP는 나라경제 활동을 전체적으로 종합해서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거시경제지표에속합니다.

GDP, GNP 이외에도 나라경제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국민소득, 물가상승률, 실업률, 환율, 통화증가율, 금리 거시경제지표입니다.

지표

어떤 현상을 측정하거나 알기 쉽게 나타낸 표시를 말합니다.

경제지표

 경제 현상을 측정하거나 알기 쉽게 나타낸표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표와 경제지표는 대부분 숫자로 표시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표와 경제지표를 보면

복잡한 경제 현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제지표는 경제를 비추는 거울, 온도계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작년에 비해 3프로 높다."

라는 말을 듣는 다면

지금 경제가 어떤 상태고 어떤 추세로 움직이고 있는 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제지표는 주로 정부와 민간 연구기관에서 만듭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 정부기관과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경제 연구소에서 만듭니다. 

이런 경제지표는 신문이나 방송,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해보거나 기관 홈페이지에 방문하시면

다양한 경제지표를 손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면,

기관에 직접 연락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설명을 해주신다고 하니 부담없이 연락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