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y=f(x)가 x=a 에서 연속이고 x가 증가하면서 x=a 의 좌우에서 f(x)가 증가상태에서 감소상태로 변하면 f(x)는 x=a에서 극대라 하고, 그때의 함수값 f(a)를 극대값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함수 y=f(x)가 x=b 에서 연속이고 x가 증가하면서 x=a 의 좌우에서 f(x)가 감소상태에서 증가상태로 변하면 f(x)는 x=b에서 극소라 하고, 그때의 함수값 f(b)를 극소값이라고 합니다.

극대값과 극소값을 통틀어 극값이라고 합니다.

함수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고, f(a)가 극대값이라고 하면 충분히 작은 |h|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h>0일 때,

h<0일 때,

그런데 함수 f(x)는 x=a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마찬가지 방법으로 함수 f(x)가 x=a에서 극소인 경우에도 f'(a)=0 임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 때,

미분가능한 함수 f(x) 에 대하여 f'(a)=0 이라고해서 f(x)가 x=a에서 반드시 극값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대표적인 예로 함수 f(x)=x³를 들 수 있습니다.

 f(x)=x³ 에서 f'(0)=0 이지만

x≠0 일 때

f'(x)=3x²>0.

즉, x=0 의 좌우에서 f'(x)>0 이므로 항상 증가하는 상태에 있습니다.

또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지더라도 f'(a)=0 이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함수 f(x)=|x|를 들 수 있습니다.

 f(x)=|x| 는 x=0 일 때 극소이지만 f'(0)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극값의 정의에 의하여 x=a의 좌우에서 함수의 증가상태와 감소상태가 바뀌므로 도함수 f'(x)의 부호가 바뀝니다. 이 때, f'(x)의 부호의 변화를 그래프로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f(x)에서 f'(a)=0 일 때, x=a 의 좌우에서

ⓐ f'(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이고 극대값을 f(a)를 가집니다.

ⓑ f'(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이고 극소값을 f(a)를 가집니다.


2017/04/30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증가와 감소

2017/04/29 - [Cyong's Mathmatics] - 평균값의 정리

2017/04/28 - [Cyong's Mathmatics] - 롤의 정리

2017/04/16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미분법

2017/04/17 - [Cyong's Mathmatics] - 함성함수의 미분법

2017/04/15 - [Cyong's Mathmatics] - 미분법의 기본 공식

2017/04/14 - [Cyong's Mathmatics] - 도함수의 정의

2017/04/13 - [Cyong's Mathmatics] -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2017/04/09 - [Cyong's Mathmatics] - 연속함수의 성질

2017/04/02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우극한과 좌극한 그리고 극한에 대한 성질

2017/04/02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극한 정리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의 그래프와 최대, 최소  (0) 2017.05.03
접선의 기울기의 증가와 감소 그리고 변곡점  (0) 2017.05.02
함수의 증가와 감소  (0) 2017.04.30
평균값의 정리  (2) 2017.04.29
롤의 정리  (0) 2017.04.28

함수 f(x)가 어떤 구간의 임의의 x의 값 x₁, x₂에 대하여

x₁ < x₂ 일 때, f(x₁) < f(x₂) 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합니다.

한편,

x₁ < x₂ 일 때, f(x₁) > f(x₂) 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고 합니다.


함수 y=f(x)에서 충분히 작은 임의의 양수 h에 대하여

f(a-h) < f(a) < f(a+h) 일 때,

f(x) 는 x=a 에서 증가상태에 있다고 하고,

f(a-h) > f(a) > f(a+h) 일 때,

f(x) 는 x=a 에서 감소상태에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함수의 증가, 감소와 미분계수의 부호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 f(x) 의 x=a 에서의 미분계수가 양수이면 다음이 성립합니다.

여기서,

|h|가 충분히 작으면 아래의 식이 성립합니다.

이때,

h>0 이면 f(a+h) > f(a)

h<0 이면 f(a+h) < f(a)

이므로 함수 f(x) 는 x=a 에서 증가상태에 있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f'(a)<0 이면 f(x) 는 x=a 에서 감소상태에 있음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함수 f(x) 의 도함수 f'(x) 가 어떤 구간에서 f'(x)>0 이면 f(x)는 이 구간의 모든 점에서 증가상태에 있으므로 f(x)는 그 구간에서 증가합니다.

반대로 

함수 f(x) 의 도함수 f'(x) 가 어떤 구간에서 f'(x)<0 이면 f(x)는 이 구간의 모든 점에서 감소상태에 있으므로 f(x)는 그 구간에서 감소합니다.



2017/04/16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미분법

2017/04/15 - [Cyong's Mathmatics] - 미분법의 기본 공식

2017/04/14 - [Cyong's Mathmatics] - 도함수의 정의

2017/04/13 - [Cyong's Mathmatics] -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2017/04/12 - [Cyong's Mathmatics] -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선의 기울기의 증가와 감소 그리고 변곡점  (0) 2017.05.02
함수의 극대와 극소  (0) 2017.05.01
평균값의 정리  (2) 2017.04.29
롤의 정리  (0) 2017.04.28
접선의 방정식  (0) 2017.04.27

롤의 정리를 일반화한 것이 평균값의 정리입니다.

2017/04/28 - [Cyong's Mathmatics] - 롤의 정리


오늘은 평균값 정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 y=f(x)가 닫힌 구간 [a,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b)에서 미분가능할 때

가 되는 c가 a와 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데, 이를 평균값 정리라고 합니다.

두 점 (a,f(a)), (b,f(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y=g(x)라고 하면

이 때, 함수 h(x)=f(x)-g(x) 라고 하면 h(x)는 열린 구간 (a,b) 에서 미분가능하며

h(a)=h(b)=0

입니다.

따라서 롤의 정리에 의하여

인 c가 a와 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합니다.

즉,

인 c가 열린 구간 (a,b) 안에 적어도 하나 존재합니다.

평균값의 정리의 뜻을 함수의 그래프를 통해서 살펴보면,

평균값의 정리에서

는 곡선 y=f(x) 위의 두 점 A(a,f(a)), B(b,f(b))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평균값의 정리는 열린 구간 (a,b)에서 직선AB와 평행한 곡선 y=f(x) 의 접선이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2017/04/28 - [Cyong's Mathmatics] - 롤의 정리

2017/04/27 - [Cyong's Mathmatics] - 접선의 방정식

2017/04/06 - [Cyong's Mathmatics] - 열린구간과 닫힌 구간, 반열린구간

2017/04/07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2017/04/09 - [Cyong's Mathmatics] - 연속함수의 성질

2017/04/10 - [Cyong's Mathmatics] -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의 정리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의 극대와 극소  (0) 2017.05.01
함수의 증가와 감소  (0) 2017.04.30
롤의 정리  (0) 2017.04.28
접선의 방정식  (0) 2017.04.27
지수함수의 도함수  (0) 2017.04.26

함수 f(x)가 닫힌 구간 [a,b]에서 연속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갖습니다.

이성질로부터 롤의 정리가 성립합니다.


롤의 정리

함수 y=f(x)가 닫힌 구간 [a,b]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a,b)에서 미분가능할 때, f(a)=f(b)이면 f'(c)=0 인 c가 a와 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합니다.


롤의 정리 증명

ⓐ y=f(x)가 상수함수인 경우

열린 구간 (a,b)에 속하는 모든 점 c에서 f'(c)=0 입니다.

ⓑ y=f(x)가 상수함수가 아닌 경우

f(a)=f(b)이므로 양 끝점을 제외한 점 x=c에서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가집니다.


⑴x=c 에서 최대값 f(c)를 가질 때

f(c+Δx)-f(c)≤0 이므로

이 성립합니다.


한편, 함수 f(x)는 x=c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좌극한과 우극한이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⑵ x=c 에서 최소값 f(c)를 가질 때

⑴와 같은 방법으로 f'(c)=0. □



2017/04/06 - [Cyong's Mathmatics] - 열린구간과 닫힌 구간, 반열린구간

2017/04/07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2017/04/10 - [Cyong's Mathmatics] -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의 정리

2017/04/02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우극한과 좌극한 그리고 극한에 대한 성질

2017/04/02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극한 정리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의 증가와 감소  (0) 2017.04.30
평균값의 정리  (2) 2017.04.29
접선의 방정식  (0) 2017.04.27
지수함수의 도함수  (0) 2017.04.26
로그함수의 도함수  (0) 2017.04.25

두 함수 y=f(y), u=g(x) 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y=f(g(x))의 도함수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x의 증분 Δx 에 대한 u의 증분을 Δu, u의 증분 Δu 에 대한 y의 증분을 Δy 라고 하면

그런데

두 함수 y=f(u), u=g(x) 는 미분가능하므로

여기서,

u=g(x) 는 연속이므로 Δx→0 일 때, Δu→0 입니다.

따라서

다음은 

미분가능한 함수 y=f(x) 에 대하여

 (n은 자연수)

가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n=1 일 때

따라서 위에 주어진 등식이 성립합니다.

ⓑ 만약 n=k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한다면

따라서 n=k+1 일 때에도 위에 주어진 등식이 성립합니다.

따라서 ⓐ, ⓑ 를 통해  

 (n은 자연수)

가 성림됨을 알 수 있습니다.□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함수의 미분법  (0) 2017.04.22
매개변수와 매개변수함수의 미분법  (0) 2017.04.21
함수의 미분법  (0) 2017.04.16
미분법의 기본 공식  (0) 2017.04.15
도함수의 정의  (0) 2017.04.14

두함수 f(x), g(x) 가 미분가능할 때,

몫의 도함수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함수

에 대하여

그런데 함수 g(x) 는 미분가능한 함수이므로


그리고,

함수

라고 하면

이므로

따라서

여기서 g(x)는 미분가능한 함수이므로 연속입니다.

즉,

이므로


한편,

함수

에 대하여

이므로

두 함수의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n이 0 또는 양의 정수일 때,

 의 도함수는


n이 음의 정수일 때,

n=-m (m은양의 정수)이라고 하면


따라서

n이 정수일 때 

 의 도함수는

입니다.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개변수와 매개변수함수의 미분법  (0) 2017.04.21
함성함수의 미분법  (0) 2017.04.17
미분법의 기본 공식  (0) 2017.04.15
도함수의 정의  (0) 2017.04.14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0) 2017.04.13

함수 

(n은 양의 정수) 

의 도함수를 구해보면

특히,

상수함수 f(x)=c (c는 상수)의 도함수는

입니다.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 의 실수배, 합, 차로

이루어진 함수의 도함수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 c는 상수)

ⓑ와 같은 방법으로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의 곱으로

이뤄진 함수의 도함수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g(x) 는 연속함수이기때문에

미분법의 기본 공식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성함수의 미분법  (0) 2017.04.17
함수의 미분법  (0) 2017.04.16
도함수의 정의  (0) 2017.04.14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0) 2017.04.13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  (0) 2017.04.12

일반적으로 함수 y=f(x) 가 정의역 X 에서 미분가능하면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x 에 대하여

미분계수 f'(x) 를 대응시키는 새로운 함수

f':x → f'(x)

즉,

가 존재합니다.

이 때,

함수 f'(x) 를 f(x) 의 도함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라고 나타냅니다.

함수 y=f(x) 에서 그 도함수 f'(x) 를 구하는 것을

함수 y=f(x) 를 x 에 대하여 미분한다라고 하고

그 계산법을 미분법이라고 합니다.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의 미분법  (0) 2017.04.16
미분법의 기본 공식  (0) 2017.04.15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0) 2017.04.13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  (0) 2017.04.12
미분계수  (0) 2017.04.11

함수 y=f(x)의 x=a 에서의 미분가능하다고 한다면

미분계수

가 존재하고 f'(a)는 일정한 값이므로

즉, 함수 y=f(x) 는 x=a 에서 연속입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y=f(x) 는 x=a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면

y=f(x) 는 x=a 에서 연속입니다.

그러나 그 역은 참이 아닙니다.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법의 기본 공식  (0) 2017.04.15
도함수의 정의  (0) 2017.04.14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  (0) 2017.04.12
미분계수  (0) 2017.04.11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의 정리  (0) 2017.04.10

지난 포스팅에서 미분계수에 대략적인 내용을 알아보았으니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


일반적으로 함수 y=f(x)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P(a,f(a)) , Q(a+Δx,f(a+Δx))

에 대하여 평균변화율

는 직선 PQ 의 기울기를 뜻합니다. 

여기서, 점 P 를 고정하고

Δx 를 0 에 한없이 가까워지게 하면

점 Q 는 그래프 위를 움직이면서 점 A 에 가까워지고,

직선 PQ 는 점 P 를 지나는 직선 PT 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직선 PT 를 점 P 에서의 곡선 y=f(x) 의 접선이라 하며

점 P 를 접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Δx→0 일 때, 직선 PQ의 기울기의 극한값인

함수 y=f(x)의 x=a 에서의 미분계수

는 곡선 y=f(x) 위의 점 P(a,f(a)) 에서의

접점 PT의 기울기와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7/04/11 - [Cyong's Mathmatics] - 미분계수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함수의 정의  (0) 2017.04.14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0) 2017.04.13
미분계수  (0) 2017.04.11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의 정리  (0) 2017.04.10
연속함수의 성질  (0) 2017.04.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