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과 물가의 관계


돈과 관련이 깊은 경제변수로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물가입니다. 물가 및 물가지수는 다양한 재화 가격의 평균치를 구함으로써 산출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개개의 재화 가격으로부터 물가가 결정된다는 식으로 단순하게 결론 내려서는 안됩니다. 왜냐하면 물가를 산출하는 순서와 결정이론이 같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체온계의 원리가 체온을 결정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판매하는 쪽에서 개별 재화의 가격을 결정할 때 고려하는 것은 다른 가격과의 상대적인 관계입니다.


즉 유사한 제품을 판매하는 O사보다 가격을 얼마나 더 높거나 낮게 책정할 것인가, 똔느 원자재비 및 임금과 비교했을 때 얼마에 판매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가 하는 점 등을 고려해 가격을 결정해야 합니다. 개별 가격에 주목했을 때 알 수 있는 것은 다양한 물건들의 가격 관계 일 뿐, 그것이 곧 물가의 ‘수준’은 아닌 것입니다. 그렇다면 물가란 무엇일까요?


한 가구가 1년동안 평균적으로 생활할 때 요구되는 지출액이 곧 물가입니다. 다시 말하면 ’1년동안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들의 가격'이 물가인 것 입니다. 다시 말하면 “물가가 3000만원에서 3100만원이 됐다.”고 하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물가는 기준이 되는 해의 물가에 대한 비율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2016년에 일정 수준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3000만원의 돈이 필요했는데 2017년에는 2850만원으로 충분하다면, 2016년 시점을 100으로 보고 2017년의 물가지수를 95라고 나타냅니다. 물가라는 것이 ‘어떤 재화의 가격’이 아니라 ‘어떤 재화를 사는데 필요한 금액’이라는 점을 이해하면 돈과 물가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알수 있습니다. 돈과 물가의 관계를 생각하기 전에 가령 1달러의 가치가 얼마인지 생각해봅시다. 1달러의 가치는 2017년 2월 현재 1158원 정도입니다. 이를 대부분의 사람이 제일 먼저 떠올리는 대답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1원의가치는 얼마일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질문에는 대답을 못하고 어리둥절해합니다만 1달러의 가치가 1158원이라면 1원의 가치는 1158분의 1달러입니다. 정말 간단한 대답이 아닐수없습니다.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통화의 가치를 생각 할 때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는 화페의 세 기능 가운데 하나인 ‘가치 척도’의 기능 때문인듯 합니다. ‘원’이 가치 단위이므로 그 자체의 가치가 얼마인지 물어보면 어리둥절한 것입니다. 예컨대 “1센티미터는 몇 센티미터인가?”하는 질문을 받을 때와 같은 어색함을 느끼는 것입니다. 이러한 어색함은 결정적으로 환율 표기법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환율은 대개 외화를 원화로 환산해 표기하는 원화 기준 표기범을 따릅니다. 즉 ‘외국 화페 1단위 = 00원’으로 표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환율표를 보면서도 1원의 가치가 1158분의 1달러라는 사실을 모르기 쉽습니다.

가치 척도 자체의 가치를 따지는 것은 러셀의 패러독스를 떠올리게 하는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 입니다.


이어서 1달러의 가치는 1158원, 1원의 가치는 1/1158달러라는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물가란 무엇인지 생각해봅시다. 중요한 점은 A의 가치가 B와의 환산비로 표시되고, 분자와 분모를 거꾸로하면 B의 가치를 A로 표시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여기서 잠깐 환산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귤 1개 = 100원’이라면 ‘1원=귤 1/100개’가 됩니다. 달러와 원화의 가치를 생각할 때와 똑같은 방식입니다. 그러면 ‘1년 동안의 표준적인 생활=3000만원’이라면 ‘1원=1년동안의 표준적인 생활 * 1/3000만’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가의 정의가 분명해지면 화폐 가치란 물가의 역수, 다시 거꾸로 말해 물가란 화폐가치의 역수라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 러셀의 패러독스 : 영국의 수학자 B.러셀이 1901년에 발견한 집합론의 패러독스입니다.러셀의 역리()라고도 합니다. 자기 자신에 속하지 않는 집합, 즉 자기 자신의 원소가 되지 않는 집합들의 집합인 Z={x l x¢Z}에서, “Z는 자기 자신에 속하는가, 또는 속하지 않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만일 Z가 Z에 속하지 않는다면 Z의 정의에 따라 Z는 자기 자신에 속합니다. 또 Z가 Z에 속한다고 하면, Z의 정의에 따라 Z는 자기 자신에 속하지 않습니다. 어느 경우이든 모순에 도달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돈과 물가의 기본 관계


돈이란 무엇일까요? 일반적으로 금융관련 책에서는 교환 중개, 가치 척도, 가치 저장이라는 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돈을 정의합니다.

거래할 때 지급 수단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돈의 교환 중개 기능입니다. 가치 척도 기능이란 물건의 가치를 화폐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는 뜻이며, 가치 저장은 화폐 자체가 자산으로서 저장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이상의 정의를  충족시키는 것으로서 현대에는 현금이나 예금이 곧 돈이 됩니다.


은행은 도깨비 방망이인가?


돈 중에서도 현금과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넣어두는 예금의 합계를 ‘본원통화(Base money)’ 또는 ‘Monetary base’라고 합니다.

은행은 예금주가 맡긴 예금을 대출해 이자를 벌어들이는 일을 업으로 합니다. 그렇다고 은행이 예금 전부를 대출로 돌릴 수는 없습니다. 그럴 경우 갑자기 일어날 수 있는 예금 인출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은행은 예금의 일부를 준비해둡니다. 준비해 두었다는 것은 간단히 말해 모든 시중은행이 수중에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현금=본원통화’로 간주할 것입니다

가령 이모씨가 은행에 100만원을 예금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은행이 100만원중에서 10만원을보유하고 90만원은 대출로 돌릴 경우 은행의 준비율은 10%입니다. 이때 원금은 물론 현금 100만원입니다. 이것이 예금이라는 형태로 바뀌엇다 해도 예금 역시 돈이기 때문에 돈의 총량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은행에서 대출을 실행 했을 때입니다.

이모씨는 100만원의 예금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지만, 은행에서 돈을 빌린 기업도 90만원의 현금을 보유하게 됩니다. 말하자면 대추로 돈이 창출된 것입니다. 돈을 빌린 기업은 융자받은 현금은 금고에 가만히 넣어두지 않습니다. 그런 여유가 있었다면 애초에 융자를 받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융자한 돈은 어떤식으로든 지금 또는 지출로 이어지고, 그것을 받은 기업 등에 의해 또다시 예금으로 전환될 것입니다. 그리고 은행에 예금된 돈은 다시 한 번 일부의 준비금을 제외하고 대출로 전환될것입니다. 이렇게 돈은 점점 확대되어 갑니다. 준비율 10%의 경제에서는 100만원의 현금으로부터 90만원의 돈이 발생하고, 다시 그 돈의 90%가 발생하고, 이런 일이 반복해서 발생할 것입니다. 이 것을 무한등비 급수를 이용해 생각해보면,


90+81+72.9+65.61+...=100*(1/(1-0.9)) = 900


준비율 10%에서 10만원의 현금은 대출을 통해 900만원이라는 돈을 파생시키고, 이때 돈의 총량은 1,000만원이 됩니다. 이렇게 본원통화 10배의 돈이 생성되는 것을 ‘화폐승수가 10’이라고 표현합니다.

좀더 간략하게 정리하면, 본원통화가 x원으로 준비율이 r%일 경우 돈의 총량은 x/r%가 됩니다. 1/r%가 곧 화폐승수 입니다. 요컨대 돈은 본원통화의 화폐승수만큼의 배가 되는 것입니다. 은행의 준비율이 동일할 경우 본원통화는 화폐승수의 배수만큼 증감됩니다. 그러므로 돈을 생각할 때는 본원통화를 그리고 중앙은행 제도가 확립되기 이전의 시대에는 현금의 총량을 중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광의의 개념에서의 화폐(통계상의 돈)에서 본원통화가  점유하는 비율은 10%정도로, 돈의 중심이 예금 통화일 경우에는 본원통화와 돈의 관계를 무시하고 거시금융론을 이야기 할수 없습니다. 화폐승수 자체가 변화할 경우를 고려하는 것은 현재의 경제정책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 화폐승수 : 통화량을 본원통화로 나눈 비율입니다. 통화승수(Money multiplier)라고도 부릅니다. 통상적으로, 시장에 유통되는 통화량은 중앙은행에서 화폐를 찍어낸 총량보다 훨씬 많은데, 그 이유는 시중은행은 자신이 보유한 지급준비금보다 훨씬 많은 돈을 대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중은행은 실재하지 않는 돈을 빌려줄 수 있기 때문에 통화승수는 1보다 커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은행의 '신용창조 기능'이라고도 일컬어집니다. 만일 국가가 1000억원의 본원통화를 시장에 유통시켰는데 시장 전체의 통화량이 1조원이 된다면 통화승수는 10이 됩니다.

'Cyong's 경제&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격은 돈의 양에 비례한다  (0) 2017.02.02
돈과 물가의 관계  (0) 2017.02.02
재개발 & 재건축  (0) 2017.01.31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0) 2017.01.30
공적자금(public funds)  (0) 2017.01.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