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y=f(x) 에서 x의 값이 a에서

a+Δx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여기서

Δx→0 일 때 평균변화율의 극한값

이 존재하면

함수 y=f(x)는 x=a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하고

이 극한값을 함수 y=f(x)는 x=a에서의 순간변화율 또는 미분계수라 하며

기호로는

라고 나타냅니다.


또한, 함수 y=f(x) 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모든 x의 값에서 미분가능 할 때,

함수 y=f(x) 는 그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합니다.

특히,

함수 y=f(x) 가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x 의 값에서 미분가능할 때,

함수 y=f(x) 는 미분가능한 함수라고 합니다.


한편, a+Δx=x 라고 하면

Δx=x-a 이고, Δx→0  일 때, x→a 이므로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0) 2017.04.13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  (0) 2017.04.12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의 정리  (0) 2017.04.10
연속함수의 성질  (0) 2017.04.09
다양한 함수의 연속성  (0) 2017.04.08

최대값 ㆍ 최소값의 정리


함수 f(x)가 닫힌 구간 [a,b] 에서 연속이면

이 함수는 닫힌 구간 [a,b] 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가집니다.

중간값의 정리


함수 f(x)가 닫힌 구간 [a,b] 에서 연속이고

f(a)≠f(b) 이면,

f(a)와 f(b) 사이에 있는 임의의 값 k에 대하여

f(c)=k

인 실수 c가 a, b 사이에 적어도 하나는 존재합니다.

중간값의 정리의 활용


함수 f(x)가 닫힌 구간 [a,b] 에서 연속이고

f(a)와 f(b)의 부호가 서로 다르면,

(즉, f(a)f(b)<0 이면)

중간값의 정리에 의하여 

f(x)=0

은 a, b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집니다.



2017/04/07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2017/04/08 - [Cyong's Mathmatics] - 다양한 함수의 연속성

2017/04/09 - [Cyong's Mathmatics] - 연속함수의 성질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  (0) 2017.04.12
미분계수  (0) 2017.04.11
연속함수의 성질  (0) 2017.04.09
다양한 함수의 연속성  (0) 2017.04.08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0) 2017.04.07

지금까지 구간과 여러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속함수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속함수의 성질


어떤 구간에서 두 함수 f(x), g(x)가 연속이면 다음 함수들도 그 구간에서 연속입니다.

ⓐ  (단, c는 상수)

ⓑ 

ⓒ 

ⓓ  (단, g(x)≠0)

증명

두 함수 f(x), g(x)가 모두 x=a에서 연속이면

연속의 정의와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 의하여

ⓐ  (단, c는 상수)

ⓑ 

ⓒ 

ⓓ g(x)≠0이면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계수  (0) 2017.04.11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의 정리  (0) 2017.04.10
다양한 함수의 연속성  (0) 2017.04.08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0) 2017.04.07
열린구간과 닫힌 구간, 반열린구간  (1) 2017.04.06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항함수, 분수함수, 무리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 합성함수의 연속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항함수

일차함수, 이차함수, …

(-∞, ∞)에서 연속.


분수함수

(분모)=0 인 점. 즉 f(x)=0 인 점에서 불연속.


무리함수

f(x)≥0 인 범위에서 연속.


로그함수

(단, a>0, a≠1)

x>0 인 범위. 즉 (0,∞) 에서 연속.


지수함수

(단, a>0, a≠1)

(-∞,∞) 에서 연속.


삼각함수

(-∞,∞) 에서 연속.

x=nπ±π/2에서 불연속. (단, n은 정수)


합성함수

일반적으로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고

함수 g(x)가 x=f(a)에서 연속이면

함성함수 y=(gf)(x)=g(f(x)) 는 x=a에서 연속.

이때,

위의 두 조건 중 어느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x=a에서 연속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2017/04/06 - [Cyong's Mathmatics] - 열린구간과 닫힌 구간, 반열린구간

2017/04/07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지난 포스팅에서는 구간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프에서 쉽게 표현하자면

x=a에서 연결되어 있다면 연속

x=a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끊어져 있다면 불연속 입니다.

그렇다면

함수가 연속이려면 어떤 조건을 가져야 할까요?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1) x=a에서 연속

함수 f(x)가 실수 a에 대하여

 x=a에서 함수값 f(a)가 정의되고

극한값

가 존재하며

일 때,

함수 f(x)는 x=a 에서 연속이라고 합니다.

2) x=a에서 불연속

함수 f(x)가 실수 a에 대하여

위에 1)x=a에서 연속일 때 가지는 세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을 때,

함수 f(x)는 x=a 에서 불연속이라고 합니다.

 

3)구간에서의 연속

함수 f(x)가 주어진 구간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연속 또는 그 구간에서의 연속함수라고 합니다.



2017/04/06 - [Cyong's Mathmatics] - 열린구간과 닫힌 구간, 반열린구간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속함수의 성질  (0) 2017.04.09
다양한 함수의 연속성  (0) 2017.04.08
열린구간과 닫힌 구간, 반열린구간  (1) 2017.04.06
무리수 e 와 자연로그함수  (0) 2017.04.05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0) 2017.04.04

구간


두 실수 a, b (a<b) 에 대하여 다음 실수의 집합

를 각각 구간이라 하고, 각각 기호로

(a,b) , [a,b] , (a,b] , [a,b)

라고 나타냅니다.

이때,

(a,b)를 열린 구간 또는 개구간

[a,b]를 닫힌 구간 또는 폐구간

(a,b] , [a,b]를 반열린 구간(반개구간) 또는 반닫힌 구간(반폐구간)

이라고 합니다.

또,

실수의 집합

도 각각 구간이라 하고

각각 기호로

(a,∞) , [a,∞) , (-∞,a) , [-∞,a]

라고 나타냅니다.


특히,

실수 전체의 집합도 하나의 구간으로 보고

기호로

(-∞,∞)

와 같이 나타낸다.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함수의 연속성  (0) 2017.04.08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0) 2017.04.07
무리수 e 와 자연로그함수  (0) 2017.04.05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0) 2017.04.04
삼각함수의 극한  (0) 2017.04.03

무리수 e


자연수 n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 

의 값은 일정한 수에 수렴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n이 실수일 때도

의 값은 존재하며,

그 극한값을 문자e로 나타냅니다.


이때, 수 e는 무리수이며, 그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편,

이라고 하면

n→∞일 때, x→0 이므로 

무리수 e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자연로그함수


앞서 정의한 무리수 e를 밑으로 하는 로그함수를 자연로그라고 하며,

무리수 e를 자연로그의 밑이라고 합니다.


이때,

자연로그는

로 나타냅니다.



지수함수의 극한

위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지수함수

의 극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로그함수의 극한

위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로그함수

의 극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극한과 좌극한


일반적으로

x가 a보다 큰 값을 가지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x→a+0


또,

x가 a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x→a+-0


특히,

x→0+0은 x→+0,

x→0-0은 x→-0

으로 나타냅니다.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보다 크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α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α를 x=a에서의 함수 f(x)의 우극한 이라고 하며


기호로는


라고 나타냅니다.


또,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보다 작으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β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β를 x=a에서의 함수 f(x)의 좌극한 이라고 하며


기호로는


라고 나타냅니다.


x→a일 때, 함수 f(x)의 극한값이 α라는 것은

x=a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이 존재하고

그 값이 모두 α와 같음을 뜻합니다.


즉,

따라서

우극한과 좌극한이 모두 존재하더라도 그 값이 서로 같지 않으면 

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x→a+0, x→a-0, x→∞, x→-∞  일 때에도 성립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0) 2017.04.04
삼각함수의 극한  (0) 2017.04.03
함수의 극한 정리  (0) 2017.04.02
삼각함수의 여러가지 공식  (0) 2017.04.01
삼각함수의 합성  (0) 2017.04.01

함수

에서 x=1 이면 분모가 0이 되므로

x=1의 함숫값 f(1)은 정의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x≠1이면


이므로


x가 1이 아닌 값을 가지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숫값 f(x)는 2에 한없이 가까워집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f(x)에서

x가 a와 다른 값을 가지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α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f(x)는 α에 수렴한다고 하고,

α를 x→a 일 때의 함수 f(x)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고 하며,


기호로는

또는

x→a 일 때, f(x)→α

와 같이 나타냅니다.

특히

 상수함수 f(x)=c(c는 상수)는

모든 x의 값에 대하여 함수값이 항상 c이므로

a의 값에 관계없이

가 성립합니다.

함수

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

f(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지고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대값이 한없이 커질 때에도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집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f(x)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함수값 f(x)가 일정한 값 α에 한없이 가까워지면서

함수 f(x)는 α에 수렴한다고 하고


기호로는

또는

x→∞ 일 때, f(x)→α

와 같이 나타냅니다.



또,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대값이 한없이 커질 때,

함수값 f(x)가 일정한 값 β에 한없이 가까워지면서

함수 f(x)는 β에 수렴한다고 하고


기호로는

또는

x→-∞ 일 때, f(x)→β

와 같이 나타냅니다.



함수

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f(x)의 값은 한없이 커집니다.

마찬가지로, 함수

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g(x)의 값은 음수이고 그 절댓값은 한없이 커집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함수값 f(x)가 한없이 커지면

f(x)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말하고 


기호로는

또는

x→a 일 때, f(x)→∞

와 같이 나타냅니다.

또,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함수값 f(x)가 음수이고 그 절대값이 한없이 커지면

f(x)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말하고 


기호로는

또는

x→a 일 때, f(x)→-∞

와 같이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f(x)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지거나, 음수이면서 그 절대값이 한없이 커질 때,

함수값 f(x)가양의 무한대 또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면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