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분의 치환적분법에서 x=g(t)로 놓으면

여기서

라고 하면

또, x=g(t) 에서 a=g(α), b=g(β)라 하면

따라서

x=g(t)가 미분가능하고, a=g(α), b=g(β)라 하면



2017/05/10 - [Cyong's Mathmatics] - 정적분의 성질

2017/05/11 - [Cyong's Mathmatics] - 정적분의 활용-넓이편

2017/05/12 - [Cyong's Mathmatics] - 정적분의 활용-부피편

2017/05/13 - [Cyong's Mathmatics] - 부정적분의 치환적분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적분의 치환적분  (0) 2017.05.13
정적분의 활용-부피편  (0) 2017.05.12
정적분의 활용-넓이편  (0) 2017.05.11
정적분의 성질  (0) 2017.05.10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0) 2017.05.09

일반적으로 부정적분

에서 x를 다른 변수 t의 함수 x=g(t)로 놓으면 F(x)=F(g(t))가 됩니다.

F(x)를 t에 대하여 미분하면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따라서

이와 같이 x=g(t)로 놓아 변수 x를 t의 함수로 치환하여 적분하는 방법을 치환적분법이라고 합니다.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부정적분

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u=f(x)로 놓으면

이므로

따라서 아래와 같은 공식이 성립합니다.



2017/05/07 - [Cyong's Mathmatics] -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2017/05/05 - [Cyong's Mathmatics] - 부정적분

2017/05/04 - [Cyong's Mathmatics] - 부정적분의 기본 성질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분의 치환적분  (0) 2017.05.14
정적분의 활용-부피편  (0) 2017.05.12
정적분의 활용-넓이편  (0) 2017.05.11
정적분의 성질  (0) 2017.05.10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0) 2017.05.09

정적분을 통해서 여러가지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 두번째 시간! 바로 그래프의 부피입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어떤 입체도형이 주어져 있고 한 직선을 x축으로 정하였을 때,

 x좌표가 a, b인 두 점을 지나 x축에 수직인 두 평면 사이에 있는 부분의 부피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x축 위의 구간 [a,b]를 n등분하여 양 끝점과 분점을 차례로

라 하고, 소구간의 길이를 Δx라고 합시다.

또, 좌표가 인 점을 지나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입체를 잘랐을 때,

생기는 단면의 넓이를 라고 하면, 밑면의 넓이가 이고 높이가 Δx인 k번째 기둥의 부피는 이므로 n개의 기둥의 부피의 합

 

따라서 구하는 입체의 부피 V는 구분구적법과 정정분의 정의에 의하여

함수 f(x)가 구간[a,b]에서 연속일 때, 곡선 y=f(x)를 x축의 둘레로 회전시켜서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V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x좌표가 x인 점을 지나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이 회전체를 자르면, 그 단면은 반지름의 길이가 |y|인 원이 됩니다.

그 단면의 넓이를 S(x)라고 하면

따라서, 구하는 회전체의 부피

마찬가지로 구간 [c,d]에서 곡선 x=g(y)를 y축의 둘레로 회전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를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2017/05/11 - [Cyong's Mathmatics] - 정적분의 활용-넓이편

2017/05/08 - [Cyong's Mathmatics] - 정적분의 정의

2017/05/09 - [Cyong's Mathmatics]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2017/05/10 - [Cyong's Mathmatics] - 정적분의 성질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분의 치환적분  (0) 2017.05.14
부정적분의 치환적분  (0) 2017.05.13
정적분의 활용-넓이편  (0) 2017.05.11
정적분의 성질  (0) 2017.05.10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0) 2017.05.09

정적분을 통해서 여러가지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 첫번째가 바로 그래프의 넓이입니다.

㈀ 구간 [a,b]에서 f(x)≥0 일 때,

㈁ 구간 [a,b]에서 f(x)≤0 일 때,

곡선 y=f(x)는 y=-f(x)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f(x)≥0 이므로

㈂  구간 [a,c]에서 f(x)≤0 이고, 구간 [c,b]에서 f(x)≥0 일 때,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는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를 구할 때와 같이 생각하여 구하면 됩니다.

즉, x=g(y)가 구간[c,d]에서 g(y)≥0 이면 곡선 x=g(y)와 y축 및 두 직선 y=c, y=d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g(y)≤0 일 때의 넓이는 앞에서와 같이

따라서 아래 그림과 같이 x=g(y)가 주어질 때 구간[c,d]에서 곡선 x=g(y)와 y축 사이의 넓이



2017/05/10 - [Cyong's Mathmatics] - 정적분의 성질

2017/05/09 - [Cyong's Mathmatics] -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2017/05/08 - [Cyong's Mathmatics] - 정적분의 정의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적분의 치환적분  (0) 2017.05.13
정적분의 활용-부피편  (0) 2017.05.12
정적분의 성질  (0) 2017.05.10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0) 2017.05.09
정적분의 정의  (0) 2017.05.08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분의 활용-부피편  (0) 2017.05.12
정적분의 활용-넓이편  (0) 2017.05.11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0) 2017.05.09
정적분의 정의  (0) 2017.05.08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0) 2017.05.07

함수 y=f(t)가 구간 [a,b]에서 연속이고 f(t)≥0 이라고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구간 [a,b]에 속하는 임의의 x에 대하여 a에서 x까지의 곡선 y=f(t)와 t축 사이의 넓이를 S(x)라 하면

이 때, x의 증분 Δx(Δx>0)에 대하여 S(x)의 증분을 ΔS라고 하면

ΔS=S(x+Δx)-S(x).

한편,

구간 [x,x+Δx]에서 함수 f(t)는 연속이므로 최대값과 최소값을 각각 M,m이라고 하면

mΔx≤ΔS≤MΔx

여기서 Δx→0 이면

함수 f(t)는 [a,b]에서 연속함수이므로

Δx→0 이면 m→f(x), M→f(x)

적분과 미분의 관계에서 S'(x)=f(x)이므로 S(x)는 f(x)의 부정적분입니다.

여기서 f(x)의 또 다른 부정적분의 하나를 F(x)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C는 적분상수)……ⓐ

S(x)의 정의에 의하여 x=a이면 S(a)=0이므로 ⓐ에서

이것을 ⓐ에 대입하면

이 식에 x=b(a<b)를 대입하고 적분변수 t를 x로 바꾸면

……ⓑ

이 것을 정적분의 기본 정리라고 합니다.

이때 ⓑ의 우변 F(b)-F(a)를 기호로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a<b 일 때

정적분 를 정의하였으나,

a=b, a>b일 때에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위의 정의에 의하여 a>b이고 F'(x)=f(x)일 때,

따라서 정적분의 기본정리는 아래끝, 위끝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한다.■



2017/05/08 - [Cyong's Mathmatics] - 정적분의 정의

2017/05/07 - [Cyong's Mathmatics] -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2017/05/05 - [Cyong's Mathmatics] - 부정적분

2017/05/04 - [Cyong's Mathmatics] - 부정적분의 기본 성질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분의 활용-넓이편  (0) 2017.05.11
정적분의 성질  (0) 2017.05.10
정적분의 정의  (0) 2017.05.08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0) 2017.05.07
부정적분  (0) 2017.05.05

앞선 포스팅에

2017/05/02 - [Cyong's Mathmatics] - 접선의 기울기의 증가와 감소 그리고 변곡점

2017/05/01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극대와 극소

2017/04/30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증가와 감소

2017/04/09 - [Cyong's Mathmatics] - 연속함수의 성질

2017/04/07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에서 알수 있듯이


함수 y=f(x)가 구간 [a,b]에서 연속이면 이 구간에서 f(x)는 반드시 최대값과 최소값을 갖습니다.

구간 [a,b] 에서 함수 y=f(x)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이 구간에서 함수 y=f(x)의 극대값과 극소값 및 양 끝점의 함수값 f(a), f(b) 을 비교하여

그 중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찾으면 됩니다.

case1) 양끝점이 모두 최솟값, 최댓값인 경우

case2) 극솟값이 최솟값인 경우

case3) 극대값과 극솟값이 최솟값, 최댓값인 경우


2017/05/02 - [Cyong's Mathmatics] - 접선의 기울기의 증가와 감소 그리고 변곡점

2017/05/01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극대와 극소

2017/04/30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증가와 감소

2017/04/16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미분법

2017/04/09 - [Cyong's Mathmatics] - 연속함수의 성질

2017/04/07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2017/04/08 - [Cyong's Mathmatics] - 다양한 함수의 연속성

2017/04/02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극한 정리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적분  (0) 2017.05.05
부정적분의 기본 성질  (0) 2017.05.04
접선의 기울기의 증가와 감소 그리고 변곡점  (0) 2017.05.02
함수의 극대와 극소  (0) 2017.05.01
함수의 증가와 감소  (0) 2017.04.30

곡선 y=f(x) 가 어떤 구간에서

f''(x)>0 이면 x가 증가할 때 f'(x)는 증가하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증가합니다.

이 때,

곡선 y=f(x) 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 또는 위로 오목이라고 합니다.

또,

곡선 y=f(x) 가 어떤 구간에서

f''(x)<0 이면 x가 증가할 때 f'(x)는 감소하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감소합니다.

이 때,

곡선 y=f(x) 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 또는 아래로 오목이라고 합니다.

곡선 y=f(x) 위에 있는 한 점의 좌우에서 곡선이 오목에서 볼록으로, 또는 볼록에서 오목으로 바뀔 때, 이 점을 변곡점이라고 합니다.

다시말해 f''(x)=0 이고, x=a 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면 점(a,f(a))는 함수 y=f(x)의 변곡점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점(a,f(a))가 함수 y=f(x)의 변곡점입니다.



2017/05/01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극대와 극소

2017/04/30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증가와 감소

2017/04/16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미분법

2017/04/15 - [Cyong's Mathmatics] - 미분법의 기본 공식

2017/04/14 - [Cyong's Mathmatics] - 도함수의 정의

2017/04/13 - [Cyong's Mathmatics] -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적분의 기본 성질  (0) 2017.05.04
함수의 그래프와 최대, 최소  (0) 2017.05.03
함수의 극대와 극소  (0) 2017.05.01
함수의 증가와 감소  (0) 2017.04.30
평균값의 정리  (2) 2017.04.29

함수 f(x)가 닫힌 구간 [a,b]에서 연속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갖습니다.

이성질로부터 롤의 정리가 성립합니다.


롤의 정리

함수 y=f(x)가 닫힌 구간 [a,b]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a,b)에서 미분가능할 때, f(a)=f(b)이면 f'(c)=0 인 c가 a와 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합니다.


롤의 정리 증명

ⓐ y=f(x)가 상수함수인 경우

열린 구간 (a,b)에 속하는 모든 점 c에서 f'(c)=0 입니다.

ⓑ y=f(x)가 상수함수가 아닌 경우

f(a)=f(b)이므로 양 끝점을 제외한 점 x=c에서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가집니다.


⑴x=c 에서 최대값 f(c)를 가질 때

f(c+Δx)-f(c)≤0 이므로

이 성립합니다.


한편, 함수 f(x)는 x=c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좌극한과 우극한이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⑵ x=c 에서 최소값 f(c)를 가질 때

⑴와 같은 방법으로 f'(c)=0. □



2017/04/06 - [Cyong's Mathmatics] - 열린구간과 닫힌 구간, 반열린구간

2017/04/07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2017/04/10 - [Cyong's Mathmatics] -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의 정리

2017/04/02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우극한과 좌극한 그리고 극한에 대한 성질

2017/04/02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극한 정리


'Cyong's Math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의 증가와 감소  (0) 2017.04.30
평균값의 정리  (2) 2017.04.29
접선의 방정식  (0) 2017.04.27
지수함수의 도함수  (0) 2017.04.26
로그함수의 도함수  (0) 2017.04.25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항함수, 분수함수, 무리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 합성함수의 연속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항함수

일차함수, 이차함수, …

(-∞, ∞)에서 연속.


분수함수

(분모)=0 인 점. 즉 f(x)=0 인 점에서 불연속.


무리함수

f(x)≥0 인 범위에서 연속.


로그함수

(단, a>0, a≠1)

x>0 인 범위. 즉 (0,∞) 에서 연속.


지수함수

(단, a>0, a≠1)

(-∞,∞) 에서 연속.


삼각함수

(-∞,∞) 에서 연속.

x=nπ±π/2에서 불연속. (단, n은 정수)


합성함수

일반적으로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고

함수 g(x)가 x=f(a)에서 연속이면

함성함수 y=(gf)(x)=g(f(x)) 는 x=a에서 연속.

이때,

위의 두 조건 중 어느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x=a에서 연속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2017/04/06 - [Cyong's Mathmatics] - 열린구간과 닫힌 구간, 반열린구간

2017/04/07 - [Cyong's Mathmatics] -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 Recent posts